복순도가 손막걸리... 마케팅은 합격점, 가격·맛은 낙제점

 

"막걸리계의 '동 페리뇽'"이라는 광고 문구에 혹하고 말았다. 동 페리뇽은 고급 샴페인의 대명사다. 대체 어떤 막걸리길래 동 페리뇽을 운운하는지 호기심이 일었다. 복순도가 손막걸리를 인터넷으로 주문해 먹었다. 9353통에 36000원이다. 1통에 12000원인 셈이다. 거의 최고가다.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이 컸다. 맛이 없는 것은 아니었으나, 12000원에 값하는 맛이 아니었다. 한입만 마셔도 왜 동 페리뇽이라는 말이 나왔는지 알 수 있다. 탄산 때문이다. 술을 머금으면 입안에서 탄산 방울이 톡톡 터진다. 청량하다. 복순도가는 아마 이 술의 강한 탄산에서 샴페인과의 연결고리를 찾았을 것이다. 그냥 샴페인이라고 하면 재미가 없으니까, 유명한 동 페리뇽을 찍었을 것이다. 영리한 마케팅이다.

 

 

하지만 탄산이 전부다. 탄산을 빼면 신맛만 남는다. 개인적으로는 탄산보다도 산미가 더 인상적이었다. 신맛이 강렬했다. 요구르트보다 시었다. 보디감은 거칠다. 묵직한 것과는 또 다른 느낌이다. 막걸리 침전물의 입자가 느껴진다. 이게 전부다.

 

성분표를 보면 설탕을 넣고 합성감미료 아스파탐을 또 넣었다. 술이 달면 왜 설탕과 아스파탐을 다 넣었는지 이해라도 할 수 있었을 텐데, 신맛만 술에 왜 단 감미료를 2중으로 넣었는지 알 수 없었다.

 

인터넷에는 호평 일색이었다. 의아했다. 지인에게 복순도가 손막걸리를 권했다. 그의 평도 나의 평과 다르지 않았다. 그는 "탄산이 강한 것 말고는 특색이 없다. 굳이 이 돈을 주고 주문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일관성 있는 맛을 내는지 의심스럽다. 한 네티즌은 복순도가 손막걸리가 너무 달다고 말했다. 하지만 나와 내 지인은 이 술에서 단맛을 느끼지 못했다. 나는 1113일에 생산한 술 세 통을 14일에 한 통, 19일에 또 한 통, 20일에 한 통씩 총 세 번에 걸쳐 마셨다.

 

복순도가 손막걸리는 안내문과 함께 스티로폼 박스에 담겨 배송됐다. 안내문에는 복순도가 손막걸리에 대한 자부심이 느껴졌다. 나는 그 자부심에 공감할 수 없었다. 거기에는 저온 장기 숙성했다고 쓰여 있었다. 며칠을 숙성했길래 장기 숙성했다고 하는 것인지, 다른 막걸리는 또 며칠이나 숙성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전통방식 그대로 옛 항아리에 담아 빚는다고도 했다. 선조들도 막걸리에 설탕과 아스파탐을 넣었느냐고 묻고 싶었다.

 

 

 

탄산이 강해 열기 전에 흔들면

 

탄산이 강해 열기 전에 흔들면 '대형사고'가 날 수 있다. 열얻다 닫았다를 수차례 반복하면 통 안에 탄산 때문에 자연스럽게 침전물이 섞인다./ 사진=홈페이지 캡처

복순도가 손막걸리를 딸 때는 흔들면 안 된다. 뚜껑을 서너 차례 열었다 닫았다 반복하면 막걸리 통 안에서 탄산이 피어올라 침전물이 섞인다. 복순도가 측에 따르면 이 술은 2012년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 20135월 청와대 재외공관장 만찬, 20155월 밀라노 세계 박람회 한국관 개관 만찬식 건배주로 쓰였다. 2015년 와인 주류품평회 샌프란시스코 인터내셔널 와인 컴퍼티션 금상, 영국 주류품평회 인터내셔널 와인 앤드 스피릿 컴퍼티션 은상, 로스앤젤레스 인터내셔널 와인 컴퍼티션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이 가격에 이 술을 다시 구매할 의사가 없다. 한 통에 몇천 원이라면 가끔 생각날 때 한 번씩 사 마실 만한 수준이다. 한 병에 1만원 넘는 돈을 주고 먹게 되지는 않을 것 같다. 인터넷에서 낱개 주문도 안 된다. 최소 3통을 사야 한다.

 

** 아래 기사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영양의 보고, 막걸리...지역별 유명 막걸리

 

와인은 포도로 만든 과일주고 막걸리는 곡식으로 만든 곡물주입니다

막걸리는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의 곡물을 찐 다음 누룩과 물을 섞어서 발효시킨 우리 고유의 술입니다

곡물로 술을 담가 익히면 맑은 술이 위로 뜨고 밑으로는 술지게미가 가라앉습니다

위로 맑게 뜨는 술이 청주인데 막걸리는 청주를 거르기 전의 술로 


 


증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막 걸러서 마신다고 해서 '막걸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막걸리는 술이 맑지 않고 탁해서 탁주(濁酒)라 하기도 하고 농부들이 주로 마셨다고 해서 농주(農酒), 색이 희다고 해서 백주(白酒), 맑은 청주를 떠내지 않아 밥알이 동동 떠 있다고 해서 동동주나 부의주(浮蟻酒) 등으로 불립니다.

 

삼국시대에 이미 우리는 술 빚는 기술이 능숙하다 하여 중국의 서적에도 우리나라 술에 대한 기록이 나오고

백제의 수수보리라는 사람은 일본에 처음으로 누룩을 가지고 가서 술 빚는 방법을 전해주어 

후에 일본의 주신(酒紳)이 되었다고 하니, 우리나라는 막걸리의 종주국이라고 할 만합니다

우리 술의 삼총사인 탁주(막걸리), 청주 그리고 증류주인 소주로 분류되는 것은 고려시대로 추정된답니다.


 




 

영양의 보고, 막걸리

막걸리를 마시는 것은 알코올 성분만 제외하면 영양제를 먹는 것과 다름없다고 합니다

80%를 차지하는 물을 제외한 나머지 20%는 알코올 6~7%, 단백질 2%, 탄수화물 0.8%, 지방 0.1%이며

나머지 10%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B, 비타민 C, 유산균, 효모 등이 혼합된 물질인 만큼 '영양의 보고'라고 불릴 만합니다.

막걸리 1 ml에는 희석시키지 않은 생막걸리의 경우, 수백만~일억 마리 정도의 유산균이 들어 있다고 합니다.

막걸리 한 사발에는 식이섬유가 일반적인 식이섬유 음료보다 100배에서 많게는 1000배 이상 많이 들어있다고 합니다.

 



지역별 유명 막걸리

 

1. 포천 이동막걸리

포천은 예부터 물이 맑아 이 지역에서 생산된 막걸리가 유명한데

포천이동막걸리는 쌀막걸리로 밀가루를 섞어 만든 막걸리에 비해 목 넘김이 부드럽고

단맛과 신맛, 쓴맛이 조화로운 편이며,  도수는 6% 입니.

 


2. 서울 장수막걸리

서울장수막걸리는 서울 탁주 연합 제조장에서 생산하는 막걸리입니다

현재 서울에 영등포, 구로, 강동, 서부, 도봉, 태릉, 성동 지역에 있는 7개 양조장이 연합하여 

서울 탁주 공동 브랜드의 상품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신맛, 단맛, 쓴맛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조화를 이룬 것으로 도수는 6% 정도 입니다.


 

3. 부산 금정산성막걸리

박정희 대통령이 허가한 민속주 1호로 500년 전통의 산성 누룩과 금정산의 암반수를 이용한 쌀막걸리이다.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조선 초기부터 이곳에 살고 있던 화전민들이 생계수단으로 술을 만들다가 숙종 때 금정산성을 쌓기 시작하면서 외지인의 유입이 늘었고 이들에 의해 전국으로 알려졌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만주와 일본에까지 널리 알려질 정도로 명성이 자자하였다고 한다. 부산 금정산성막걸리는 전통 방식대로 만든 누룩을 가루로 빻아 쌀과 혼합하여 만드는데, 알코올 도수는 8% 정도이다.

동래 해물파전과 함께 마시면 둘이 먹다 하나가 죽어도 모릅니다.

 


4. 강원도 강냉이엿술

옥수수 산지로 유명한 강원도 지역에서 농주로 마시던 탁주 계열의 막걸리로 춘천 지역에서 만든 엿술이 유명합니다. 옥수수에 엿기름을 넣어 만들기 때문에 옥수수의 고소한 맛과 향뿐만 아니라 단맛도 느낄 수 있습니다


 


5. 안양 옥미주

경기도 안양 지역의 민속주로서 충북 제천과 단양의 남평 문씨 문중 맏며느리에게만 전수되어온 술이라고 합니다

잘 여문 옥수수에 현미를 넣어 빚는다는 뜻을 담은 옥미주는 옥구슬과 같이 매우 아름다운 담황색을 띱니다

거칠게 빻은 현미를 찐 후에 누룩을 섞어 1차 당화시킨 후, 여기에 옥수수, 고구마, 엿기름 등을 넣어 숙성시킨 것을 

자루에 넣고 짜내면 알코올 도수 11% 정도의 그윽한 향과 감칠맛이 나는 옥미주가 완성되는데

다른 술에 비해 취기가 서서히 올라와 숙취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 Recent posts

티스토리 친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