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 짓누르면 안되는 3가지 이유보니…



과열된 부동산시장을 잡겠다며 정부가 칼을 빼들었지만 업계 관계자 및 시장 전문가들은 과도한 규제는 지양해야 한다며 한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건설·부동산 과열 현상이 진정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가 감지되는 데다 건설경기가 우리 경제를 떠받들고 있는 상황이어서 어설픈 규제는 오히려 경기 급랭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겁니다.

건설경기가 이미 고점을 지나 하락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는 각종 통계 및 연구자료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을 살펴보면 올해 매달 증가하던 건설투자가 9월 들어 4.7% 감소했다고 하네요. 토목공사가 6.8%로 감소폭이 컸지만 건축도 3.7% 감소했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건설투자는 4% 증가했으며 8월 역시 건설투자는 3.2% 증가했답니다. 전년 대비 건축 인허가 면적 증감도 3분기 들어 감소세로 전환됬다고 합니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10월 건설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역시 73으로 전달보다 2포인트 하락했다고 합니다. 올해 2월 59에서 매달 꾸준히 오르다가 9월 75를 고점으로 하락 추세에 접어들었다고 하네요. 이 때문에 굳이 지금 시점에 부동산 규제를 꺼내드는 것이 시기적으로 과연 적절한가에 대해 시장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 전문을 보세요.

* 기사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수도꼭지` 부동산 규제?


우리나라 부동산 경기는 대략 10년 주기로 등락을 반복했답니다. 개인별로 어느 정도 차는 있지만 대체로 상승기를 경험한 사람은 돈을 벌었고, 하락기를 경험한 이는 반대의 길을 걸었습니다. 모든 국민이 잘 살도록 하는 것이 국가의 목적인데, 열심히 일하고도 부동산 하락 때문에 인생이 꼬여버린 국민이 많아진다면 큰 사회적 문제일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가 바로 정부의 부동산 규제라고 할 수 있죠. 시장이 과열된다 싶을 때 저렴한 공공주택 공급을 늘려주면 진정될 가능성이 높고요, 반대로 시장이 침체에 빠질 것 같으면 재산세를 낮춰 사람들의 주택 보유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정책 집행을 통해 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과 서민 주거복지 향상이란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할 수 있죠. 5000만 전국민을 들었다 놨다 하는 마술과도 같은 부동산 정책을 해부해 볼까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 전문을 보세요.


* 기사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

티스토리 친구하기